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위용 넘치는 조선의 군사력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특별전
(2021년 04월 기사)

위용 넘치는 조선의 군사력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특별전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컬쳐 & 라이프 >
  • 생각을 깨우치는 문화 속 한 컷
    (2021년 04월 기사)
사진1
위용 넘치는 조선의 군사력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특별전
사진2
조선 왕실의 군사의례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전은 조선이 문치(文治)뿐 아니라 무치(武治)를 겸비한 나라였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진3
군사들이 착용한 갑옷과 투구, 무기와 다채로운 군사 깃발 등을 포함해 176여 건의 다양한 유물들이 한자리에서 볼 수 있어서 아주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시선을 사로잡는 유물이 많아 교육적인 효과도 뛰어났습니다.
사진4
특히 독일 라히프치히 그라시민족학박물관과 함부르크 로텐바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조선 시대 갑옷과 투구, 무기 등 약 40여 점도 들여왔으며, 이 유물들은 국내에서는 처음 공개되는 것이라고 해서 의미를 더했습니다.
사진5
군사의례는 왕이 국가를 통치하는 다섯 가지 국가의례인 오례(五禮) 중 하나로, 국가의 군사적 활동을 의례로 정리한 것인데 조선 왕실은 군사의례를 통해 왕이 군통수권을 지니고 있다는 상징성을 부여하고 왕실의 권위를 한껏 드높였다고 합니다.
사진6
특별전은 1부 '조선 국왕의 군사적 노력'과 2부 '조선 왕실의 군사의례' 총 2부로 구성하였으며, 2부 '조선 왕실의 군사의례'에서는 왕을 중심으로 거행한 군사의례를 소개합니다.
사진7
조선 후기에 등장한 군복(軍服)을 입은 왕의 모습을 유일하게 볼 수 있는 <철종 어진>, 그리고 어진(御眞) 속에 그려진 군복, 지휘봉, 허리띠, 깍지, 칼(환도, 環刀) 등과 유사한 유물을 함께 볼 수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사진8
갑옷과 투구 공간은 대열의를 상상할 수 있게 만든 대형 영상 화면을 배경으로, 왕의 시선에서 바라보듯 장수와 병사들이 사열하고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연출은 아주 인상적이었으며, 건너편 벽면에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깃발들을 한꺼번에 전시해 압도적인 분위기가 느껴졌습니다.
사진9
우리 민족의 강인함을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는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전을 통해 군사적, 문화적으로 강력한 우리나라를 꿈꾸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