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풍년을 기원하는 공동체의 신명나는 놀이
농악

풍년을 기원하는 공동체의 신명나는 놀이 농악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컬쳐 & 라이프 >
  • 우리 문화 깊이 보기

봄이면 풍년을 기원하고 가을이면 수확의 즐거움을 자축하며 신명나는 한판을 벌이는 농악. 농사를 지으며 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던 우리 선조들의 삶에서 농악은 신명을 끌어내어 공동체의 화합과 단결을 다지는 중요한 요소였다.

한국인의 흥과 멋이 담긴 서민들의 종합예술

농악은 한국사회에서 마을 공동체의 화합과 마을 주민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진행한 일종의 축제같은 것이었다. 전국 각 지역에서 저마다의 특색을 가지고 행해지는 대표적인 민속예술이자 종합예술인 농악은 꽹과리, 징, 장구, 북, 소고 등 타악기를 합주하면서 행진하거나 춤을 추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꽹과리와 장구가 주요 리듬을 연주하면 징과 북은 단순한 리듬으로 음악의 강세를 만들어주는 것이 특징인 농악. 어깨가 들썩이는 음악에 노랑, 파랑, 초록의 삼색 띠를 두르거나 색동이 들어간 화려한 의상을 입고 추고 개인춤과 단체가 만드는 진짜기, 상모를 이용한 춤과 개별 악기춤 등이 더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인 고유의 흥과 멋이 더해진 농악은 201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면서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동시에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농악
농악 사진

지역별 특색을 극대화한 개성 가득한 농악의 맛

진주삼천포농악은 진주·삼천포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기수(旗手)와 쇠, 징, 북, 장구, 법고 그리고 양반과 포수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흰 바지와 색깔 있는 저고리의 농악복에 색띠를 두르고, 모자(상모)를 쓴 채 연주하며 개인놀이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진주삼천포농악은 군사놀이인 팔진해식진(八陣解式陣)굿이 있고, 모든 치배(악기를 치는 사람)가 상모를 돌리는 등 일사불란한 진풀이와 상모춤에서 군악적 특성도 지닌다. 또한 이 지역의 말투가 그렇듯이 대체로 가락이 높고 빠르다.

김천금릉빗내농악은 영남농악 중 하나로 2019년에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광천리 빗내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경상북도 내륙지역 농악의 성격과 특징을 지녔다. 빗내농악은 옛 삼한시대 감문국의 '나랏제사'와 풍년을 기원하는 '빗신제'가 혼합한 동제(洞祭)에서 유래한 것이다. 빗내농악의 대표적인 특징은 대()북놀음으로 빗내농악에서는 큰 북을 연주할 때 북채 2개를 양손에 들고 치는데 이것은 경북 내륙지역 농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주로 북통을 두드리는 왼손의 채를 '또드락채'라고 부르는데 왼손에 채를 들고 북통을 두드리면 '또드락' 하는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더불어 각각 특색 있는 12마당의 굿판이 벌어져 볼거리가 풍성하고 흥을 돋우는 요소가 많다는 것도 김천금릉빗내농악에서만 감상할 수 있는 특징이다.

강릉농악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오는 대표적인 영동농악의 하나로 농경생활을 흉내 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에 농사풀이 농악이라고도 한다. 강릉농악의 농악대는 농기(깃발을 든 기수)-쇄납(태평소 연주자)-꽹과리-징-북-장구-소고-법고-무동(사내아이) 순으로 편성되어 공연을 진행하며, 연주자들은 흰 바지저고리에 홍·청·황의 삼색띠를 두르고 무동들은 여러 가지 색깔이 섞인 옷을 입는다. 대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서 3∼4일간 농악대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농악과 고사를 지내는 지신밟기, 마을의 공동 기금을 걷기 위해 걸립패로 꾸며 진행되는 걸립농악이 있다. 또한 봄철 화전놀이 때 큰 마당에서 진행되는 마당굿, 모심기와 김매기 등을 할 때 진행되는 농사풀이농악 등이 있다. 타 지역에 비해 농악의 다른 기능보다 농사풀이의 기능이 특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강릉농악은 유명한 민속놀이 중 하나로 손꼽히는 강릉단오제 때도 행해져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1998년 문화재로 지정된 고창농악은 상모 대신에 머리에 고깔을 쓰는 것이 이색적이고, 장단과 춤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 지역의 농악에서 진행되는 판굿뿐만이 아니라 문굿, 풍장굿, 매굿 등 여러 가지 굿들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고 전승되어 있다는 특징도 지닌다. 과거형에 머물지 않고 지속적으로 전승·발전시키고 있는 고창농악은 벼 꽃이 필 무렵에 <고창농악 꽃대림축제>라는 이름으로 흥겨운 축제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에는 구례잔수농악, 평택농악, 임실필봉농악, 남원농악, 광명농악 등 지역별로 행해지고 있는 농악이 다양하다. 공동체 전체가 모여 하나된 바람으로 흥겹게 춤과 노래, 놀이로 풀어내는 화합의 한마당 농악. 우리에게는 소중한 전통의 문화유산, 외국인들에게는 한국의 이색적이고 독특한 종합예술로서 그 가치를 발하고 있다.

구례잔수농악
구례잔수농악 사진

사진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평택농악
평택농악 사진

사진출처: <평택농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실필봉농악
임실필봉농악 사진

사진출처: <임실필봉농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명농악
광명농악 사진

사진출처: <광명농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