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2차 세계대전 이후 1940년대 미국 주식시장의 모습은?
(2017년 08월 기사)

2차 세계대전 이후 1940년대 미국 주식시장의 모습은?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투자 이야기 >
  • 쉽고 재미있는 투자의 역사
    (2017년 08월 기사)
기고: 디지털서비스팀 권형우 매니저
안녕하세요? 유난히 더운 올 여름, 가만히 있어도 기운이 빠지기 십상이지요? 이럴 때일수록 꾸준한 건강관리로 활력을 꼭 챙기셨으면 합니다. 자, 그럼 오늘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주식시장의 이야기를 함께 만나봅시다.

진주만 공습, 미국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다

1945년 전례가 없었던 미국의 원자폭탄 공격에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면서 6년 간 계속되었던 2차 세계대전이 비로소 종전을 맞이하게 됩니다. 사실 미국의 전쟁 참여는 태평양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미국은 중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에 대해 석유와 고철 판매를 금지하는 한편, 중국 장제스 정부에게 계속 재정을 지원해 일본과 사이가 멀어지게 됩니다. 이에 일본은 대담하게도 직접 미국의 본토를 타격하는 작전을 수립하고 하와이의 진주만을 노리기 시작하지요.

거리에 나온 군인과 여성들 사진 사진 출처: flickr(https://www.flickr.com)

1941년 11월, 일본의 함대는 진주만에 기습적인 폭격을 가합니다. 이미 일본이 미국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가 있었음에도 일본의 기습은 완벽하게 성공했고 미국 태평양 함대는 3천여 명의 사상자를 내며 반파됩니다.

예기치 못한 본토 공격에 충격을 받은 미국은 일본과의 전쟁을 결의합니다. 또한 당시 일본과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던 독일과 이탈리아와의 전쟁도 시작됩니다.

공군 비행기 사진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https://commons.wikimedia.org/)

당시 중국과 전쟁을 치르고 있었던 일본,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던 이탈리아, 스페인 내전 등에 참전하며 꾸준히 군비 증강을 해왔던 독일과 달리, 당시 미국은 제대로 된 군비 증강이 이뤄지지 않았던 상태였습니다. 그럼에도 미국은 곧 빠른 속도로 전쟁 물자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와이 일대가 폭격으로 피해를 입기는 했지만 미국 본토의 피해는 유럽이나 아시아 지역에 비해 경미했기에 결국 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면서 경제 성장의 수혜를 입게 됩니다.

1940년대 주식 시장의 완만한 성장

2차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 경제가 큰 수혜를 입었으니 미국의 증시 역시 1930년대처럼 크게 상승했을 것 같나요? 아닙니다. 실제로 미국의 1940년대 증시 상황을 보면, 이전 대공황이 발생했던 1930년대에 비해 눈에 크게 들어올 정도로 완만한 상승을 이루거나 변동이 적거든요. 전쟁에 대한 피로감은 늘어난 반면 이전 1930년대 극심한 대공황으로 인해 주식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도는 감소했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다우존스는 1940년에서 1945년까지 40~60 포인트 상승만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맨해튼 사진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https://commons.wikimedia.org/)

실제로 미국 시장에서 강세장이 펼쳐진 것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한 1950년대 랠리였는데요. 미국의 주식시장 역사를 살펴보면 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이 승리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주식 시장은 완만한 성장을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개방형 뮤추얼펀드, 업계의 대세가 되다

한편, 뮤추얼펀드 시장은 다시 기지개를 펴기 시작합니다. 이 시장 역시 1932년 대공황 이전에 큰 성황을 이뤘다가 공황으로 인해 미국의 주식시장이 몰락하면서 불황을 맞이했었는데요. 2차 세계대전 후, 뮤추얼펀드의 성장을 주도한 것은 바로 개방형 뮤추얼펀드였습니다. 개방형 뮤추얼펀드들은 1930년대 뮤추얼펀드와 투자신탁들이 난립하던 시절에서 벗어나 견실하고 투명한 전문가 위주로 조직과 운영을 개편하고, 순자산(NAV, Net Asset Value)에 따른 환매 구조를 통해 고객들에게 적시 환매를 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이는 고객들의 투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었기에 1945년에는 10억 달러를, 1951년에 31억 달러를 돌파하게 됩니다.

전쟁에서의 승리, 그럼에도 완만한 성장을 이어간 미국 증시. 실제 1940년대 지수는 대공황 당시의 최고점에도 미치지 못해 투자자들에게 많은 아쉬움을 주기도 했는데요. 그 이후, 1950년 한국 전쟁을 기점으로 미국의 주식시장은 진정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메인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https://commons.wikimedia.or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