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웹진

브렌튼우즈 체제 이후 스미소니언 체제의 시작
(2022년 11월 기사)

브렌튼우즈 체제 이후 스미소니언 체제의 시작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투자 이야기 >
  • 쉽고 재미있는 투자의 역사
    (2022년 11월 기사)
기고: IT지원팀 권형우 선임매니저
가을 바람이 부는 요즘, 이제 곳곳에 단풍 소식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모두 단풍놀이는 다녀오셨나요? 단풍의 절정을 이루고 이내 곧 겨울이 찾아올 것 같습니다. 찰나에 지나가는 만산홍엽의 계절, 가까운 분들과 즐거운 시간 보낼 수 있는 가을날이 되길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번에 이어 베르너 보고서 이후의 유럽의 통화 체제에 대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브렌트우즈 체제 이후의 전 세계 통화 체제의 변화에 대해 더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스미소니언 체제의 시작

브렌트우즈 체제가 붕괴되면서 많은 국가들은 변동환율제로 전환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환율을 두고 각 국가 간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합니다.
우선 기축통화국이었던 미국은 각국의 통화 가치가 달러에 비해 높으니 각국의 통화 가치를 절상시키는 조치를 할 것을 요구합니다. 그동안 다른 나라들이 실제보다 낮은 가치를 적용받아 미국에 수출을 하면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니, 이를 바로잡겠다는 것입니다.
많은 국가들은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 일방적인 달러화의 금 태환 정지를 선언해 브렌트우즈 체제가 붕괴한 데 대한 반감에다, 자국의 통화 가치만 달러 대비 절상될 경우 미국에 대한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것을 우려해 이에 반발했지만 미국 정부는 완강했습니다.
만약 각 국가들의 통화 가치를 절상하지 않는다면, 미국에 대해 수입되는 제품들에 대해 모두 수입부담금을 10%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내용은 당시 냉전 체제 속 미국의 우방이었던 서방 유럽 국가들과 일본 등에도 전혀 공유되지 않았던 공격적인 제안이었습니다.
달러 가치 상승을 표현한 사진
당시 미국의 재무장관이었던 존 코널리는 1971년 10월, 런던에서 열린 재무장관들과의 회의에서 미국은 80억 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미국은 50억 달러의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미국의 닉슨 대통령이나 존 코널리 재무장관 스스로도 이것이 다른 국가들에게 무리라고 느껴질 것을 예감했는지, 존 코널리 장관은 "미국은 80억 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원한다"는 메시지만 남기고 회의실을 박차고 나왔습니다. 다른 국가들이 자신을 설득하거나 회유하거나, 혹은 자신과 논쟁하는 자리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결국 유럽 및 일본 등 국가들은 미국에 백기를 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1971년 12월,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스미소니언 박물관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10개국 재무장관들은 브레튼우즈 체제에 이어 새로운 체제를 받아들이는 데 합의했고, 이를 '스미소니언 체제'라고 부릅니다. (정식 명칭은 '국제통화 및 통상 위기 수습책'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늘 그랬듯이 개최지의 이름을 따서 통상적으로 '스미소니언 체제'라 불리게 됩니다.)

스미소니언 체제의 주요 내용

스미소니언 체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달러의 평가절하입니다. 기존 브렌트우즈 체제의 경우에는 금 1온스 당 35달러였으나, 스미소니언 체제에서 금 1온스 당 38달러로 달러 가치가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두 번째로는 각국의 통화 가치가 절상되었습니다. 미국 달러화는 7.895% 정도 가치가 절하된 반면, 독일 마르크화는 12.6% 절상, 일본 엔화의 경우에는 16.88%나 절상됩니다. 반면 영국의 파운드화와 프랑스 프랑화는 각각 8.57% 절하되었습니다.
각국 화폐기호와 동전 사진
세 번째는 달러를 기준으로 삼되, 달러화에 대한 통화가치 변동폭을 종전 1%에서 2.25%로 올렸습니다. 달러 가치에 대해 타국의 변동을 좀 더 줄 수 있도록 해서 고정환율제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각국의 재무장관들은 고정환율제 유지를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해당 내용에 합의했고 브렌트우즈 체제에 이어 스미소니언 체제가 시작됩니다. 하지만 스미소니언 체제는 과연 오래갈 수 있었을까요?

유럽 스네이크 체제의 태동

스미소니언 체제의 출범을 지켜본 유럽 국가들은 미국의 달러 패권이 무너지는 것을 경험하면서, 유럽 국가들끼리도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1972년 4월, 유럽 국가들은 환율 안정을 위해 유럽국가들만의 제한된 고정환율 체제를 출범시키게 됩니다. 이는 후일 '스네이크 체제'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스네이크 체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