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으로 향로의 쓰임은 국가의 의례나 제례, 종교행사 등에서 다양한 기원을 하며 향을 피워올리는 것이었다.
그 용도가 특별했던 만큼 가장 섬세하고 정교한 문양을 새기고, 값비싼 재료를 사용해 만든 공예예술의 결정체가 바로 향로였다.
이제는 박물관에서나 만날 수 있는 귀한 문화유산인 향로.
세계인을 매혹시키기에 손색이 없는 위대한 한국의 예술품이다.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발견된 향로로 높이 61.8㎝, 무게 11.8㎏에 이르는 대형 작품이다.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준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무인상, 기마수렵상 등 16인의 인물상과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날짐승, 호랑이, 사슴 등 39마리의 현실 세계 동물들이 표현되어 있다. 이 밖에 6개의 나무와 12개의 바위, 산 중턱에 있는 산길, 산 사이로 흐르는 시냇물, 폭포, 호수 등이 수려함을 배가시키고 있다.
뚜껑 꼭대기에는 별도로 부착된 봉황이 목과 부리로 여의주를 품고 날개를 편 채 힘있게 서 있는데, 약간 치켜 올라간 긴 꼬리의 부드러움은 백제 예술품의 특징이다. 봉황 앞 가슴과 악사상 앞뒤에는 5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몸체에서 향 연기를 자연스럽게 피어오르게 했다.
활짝 피어난 연꽃을 연상시키는 아래의 몸체는 연잎 하나하나의 표면에 불사조와 물고기, 사슴, 학 등 26마리의 동물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는 몸체의 연꽃 밑부분을 입으로 문 채 하늘로 날아오르듯 고개를 쳐들어 떠받고 있는 한 마리의 용으로 되어 있다.
백제 금동대향로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행한 박산향로의 영향을 받은 듯하지만, 중국과 달리 산들이 입체적이며 세부의 동물과 인물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백제시대의 창의성과 뛰어난 조형성을 모두 아우른 백제 금속공예 최고의 걸작품이다.
고려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 향로로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윗부분이 넓게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고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몸통에는 구름무늬가 장식되었고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배치되었으며, 그 위에 뚜껑을 덮도록 했다. 뚜껑 한복판에는 뒤를 돌아보고 있는 기린이 조각되어 있고, 기린이 앉아있는 자리의 옆면에는 번개무늬가 돌아가며 음각되었다. 기린의 머리에는 뿔이 돋아 있으나 부러져 있는 상태이고, 목뒤의 부분은 곱슬곱슬하게 표현하였다. 눈은 검은색 안료를 사용해 점을 찍었으며, 구조상 향의 연기는 벌려진 기린의 입을 통하여 뿜어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비취색 특유의 은은한 광택이 향로 전체를 품위 있게 감싸고 있는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12세기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한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고려 전기의 청자 향로로, 뚜껑은 향을 피워올려 퍼지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球形) 부분과 그 밑에 받침 부분으로 되어 있다.
구형 부분 곳곳의 교차 지점에는 흰 점이 하나씩 장식되어 있다. 몸통은 두 부분으로 윗부분은 둥근 화로 형태인데, 몇 겹의 국화잎으로 싸여 있고 다시 커다란 국화잎이 이를 받치고 있다. 아래 부분은 향로 몸체를 받치고 있는 대좌로, 세 마리의 토끼가 등으로 떠받들고 있다. 대좌의 옆면에는 덩굴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토끼의 두 눈은 검은 점을 찍어서 나타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광택이 난다.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는 상감청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고려 청자에서는 드물게 다양한 기교를 부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공예적인 섬세한 장식이 많은 듯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와 균형이 잘 잡힌 뛰어난 작품이다.
*기사는 문화재청 자료에서 발췌했습니다. (https://www.cha.go.kr/main.html)
메인 사진제공: 한국관광공사 김지호(https://visitkorea.or.kr/)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