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미국의 BTS관련주? 음악산업 돌아보기
위드 코로나 시대, 취미 활동의 재개
(2022년 01월 기사)

미국의 BTS관련주? 음악산업 돌아보기
위드 코로나 시대, 취미 활동의 재개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글로벌 포커스 >
  • 글로벌 핫이슈
    (2022년 01월 기사)
기고: VIP컨설팅팀 이영원 이사대우
음악산업 표현 그림
  • BTS, 11월 27일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SoFi Stadium에서 대규모 콘서트 개최
  • 코로나19로 중단된 대중음악 공연, 2021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재개 국면 돌입
  • 억눌렸던 수요의 폭발, 공연 중 사고 발생 등 혼란 있지만 시장의 기대 높아
  •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스트리밍 중심으로 음악시장 재편, 재성장기에 돌입
  •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아마존, 텐센트, 구글(유튜브) 등이 음원 스트리밍 시장에서 각축
  • 기존 레코드 레이블도 3대 레이블로 재편, 2020년 워너뮤직그룹(WMG) 재상장

위드 코로나와 함께 재개된 공연

코로나19 이후 BTS의 첫 오프라인 콘서트가 미국 캘리포니아 LA인근의 SoFi Stadium에서 11월 27, 28일, 12월 1, 2일 총 나흘간 개최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공연, 스포츠 관람 등이 본격화되는 사례로 현재 미국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 9월 개장한 SoFi Stadium은 미국 NFL의 두 개 팀(LA 램즈, LA 챠저스)의 홈 구장으로 7만 명의 수용인원(10만 명까지 확장 가능)을 가진 최신 구장으로 이번 BTS 공연 이전에는 롤링 스톤스가 이틀 간 공연한 곳이기도 합니다. 이번 공연은 미국 공연 사업 매출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Live Nation 엔터테인먼트사가 주관하고, 자회사인 Ticket Master를 통해 입장권을 판매했습니다. 발매 후 매진된 입장권은 합법적인 Ticket Master 내의 리세일 사이트를 통해 수십 배의 가격으로 거래되기도 했습니다(정가는 75~275달러. 리세일 페이지 상 최고 판매희망가는 1만 5천 달러 이상).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LA 콘서트 포스터
출처: BIGHIT MUSIC 공식 트위터(https://twitter.com/BIGHIT_MUSIC/)

이번 BTS의 미국 공연을 주관하고 있는 Live Nation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전 세계에서 9천8백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고, 4만 회의 공연, 100개 이상의 페스티벌을 주관했으며, 투어링 아티스트가 4천 명 이상, 40개 국, 200곳 이상의 공연장에서 공연을 실시한 세계 최대 공연프로덕션입니다. 하지만 공연 사업의 특성상 코로나19의 타격으로 매출의 거의 대부분이 사라질 정도로 심각했으며 백신접종이 진행되고 난 이후 2021년 3분기부터 코로나19 이전의 모습에 근접해가고 있습니다. 물론 가장 성수기인 3분기 실적을 비교했을 때, 2021년 3분기 매출은 여전히 2019년은 물론 몇 해 전인 2015년 수준을 겨우 넘어선 상태이지만 본격적인 대형 공연이 열리기 시작하면서 향후 기대감은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번 BTS의 초대형 공연의 티켓 판매 현황에서도 확인되듯, 코로나 팬더믹 기간 동안 억눌렸던 수요가 폭발하면서 공연시장에 대한 기대는 매우 높습니다. 앞으로도 콜드 플레이, 마룬5 등 대형 아티스트의 공연 일정이 줄을 잇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기대는 주가에 반영되어 지난 11월 5일 Live Nation 주가는 사상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하지만, Live Nation의 주가가 사상최고가를 기록한 날 텍사스 휴스턴에서 개최된 아스트로월드 페스티벌에서 힙합가수 트래비스 스콧의 공연 도중 사고가 발생해 8명 이상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을 당해 공연 산업의 리스크도 확인되었습니다. 당사의 매출에서 공연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데 비해 이익 기여도가 높지 않은 것은 이러한 리스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티켓판매, 스폰서십 등 매출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아도 안정적인 이익 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트리밍과 음악시장

코로나19로 공연산업은 극심한 타격 이후 회복국면을 맞이하고 있지만, 음원 유통에 기반한 음악 산업을 대상으로 할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은 특정하기 어렵습니다. 연구/조사에 따라 팬더믹 기간 MZ세대 등 젊은 소비층이 음악 소비가 증가하거나, 출퇴근 시간의 스트리밍 매출이 감소한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스트리밍의 보급 확대는 음악산업의 재도약을 이끌고 있는 중입니다. 음악 산업의 매출을 음원 매체별로 구분하면 CD가 주력이던 1999년을 정점으로 급속하게 위축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스트리밍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음악 산업의 재 성장이 본격화 되어 스트리밍 서비스 비중이 1/4를 넘어서던 2014년을 기점으로 음악 산업의 외형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스트리밍 방식이 전체 음악시장 매출의 80%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트리밍과 음악시장을 표현한 사진

스트리밍 방식의 음원 유통에서 강자는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아마존, 텐센트, 구글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스포티파이의 1위 수성이 견고한 상황이지만, 아마존, 텐센트, 구글(유튜브) 등의 점유율 상승이 빠르게 나타나는 상황입니다.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태평양 등 신흥시장의 성장이 상대적으로 빠른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체계를 적용해 ARPU가 감소하는 점 등은 스포티파이의 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기획사와 미국의 레코드 레이블

BTS의 소속사인 하이브까지 한국의 음악 산업의 대표주자는 에스엠, JYP Ent., YG Ent. 등 기획사입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유니버설, 소니, 워너뮤직으로 대표되는 3대 레코드 레이블이 다수의 산하 레코드 레이블을 거느리고 음악시장을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여러 독립 레코드 레이블들의 합종연횡으로 형성된 3대 레코드 레이블에는 각각 수많은 아티스트와 밴드가 소속되어 전 세계 대중음악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할 수 있는 레이블은 워너뮤직 그룹(Warner Music Group, WMG) 뿐입니다.

워너 뮤직그룹은 산하에 아틀랜틱 레코드, 워너 레코드, 엘렉트라 레코드, EMI 유럽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속된 아티스트로 에드 시런, 앤 마리, 콜드 플레이, 부르노 마스, 카디 비, 두아 리파, 마돈나 등이 있고 비지스, 레드제플린, 메탈리카 등 레전드들도 워너 뮤직그룹 레이블로 음반을 발매했고 현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워너뮤직 그룹은 타임워너 소속으로 2005년~2011년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되어 거래되었으나 Access Industries에 매각된 후 비공개 상태로 전환되었습니다. 지난해 2020년 나스닥 시장에 재 상장되어 기존 레코드 발매 방식에서 스트리밍 방식의 시장체제에 맞게 전환되어 새로운 성장을 구가하고 있습니다.
레이블 회사 표현한 그림

댓글목록

이희도님의 댓글

이희도

요즘도 해외주식을권장하는지요  개인 계좌를 보면서 계좌를만들어 입금하여 해왜투자해보자고전화가 몇번왔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