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잊지 말아야 할 장기 먹거리 테마
메타버스 (Metaverse)와 관련 ETF
(2021년 12월 기사)

잊지 말아야 할 장기 먹거리 테마
메타버스 (Metaverse)와 관련 ETF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글로벌 포커스 >
  • 글로벌 핫이슈
    (2021년 12월 기사)
기고: VIP컨설팅팀 엄아연 선임매니저
4Q21 포럼과 「ETF로 변동성 대응하기」를 통해 이번 4분기와 내년초까지 변동성 장세가 예상되나, 추세적인 하락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은 높지 않아 공격적인 비중 축소보다는 변동성 대응 ETF로 수익률 방어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동시에, 향후 미래를 바꿀 장기 먹거리 테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여전히 필요한데, 이번 호에서는 장기 먹거리 테마 중 하나인 '메타버스'를 정리하고 관련 기업 및 ETF를 소개합니다.

메타버스란?

메타버스(Metaverse)란 가상(Meta)과 세계(Universe)를 합친 용어로,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작품 「스노우 크래쉬(Snow Crash)」에서 처음 언급이 되었습니다. 「메타버스」 김상균 저자는 인터뷰에서 메타버스의 정의를 쉽게 풀어서 '아바타로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세상'이라고 정의한 바 있습니다.

미국 기술 학회인 ASF(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에서 발표한 메타버스 로드맵에서 메타버스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했습니다. X축은 내재적-외재적 요소, Y축을 증강-시뮬레이션으로 설정하고, 내재적 증강현실을 라이프로깅(lifelogging), 외재적 증강현실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외재적 시뮬레이션을 거울 세계(mirror world), 그리고 내재적 시뮬레이션을 가상 세계(virtual world)라고 규정했습니다.

라이프로깅은 사물과 사람의 일상적인 정보와 감정들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기술입니다. 인스타그램, 틱톡, 그리고 맞춤형 운동을 기록하고 제안해주는 나이키의 'Nike Training' 어플리케이션 등이 라이프로깅에 속합니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위치 정보와 네트워크된 정보를 입혀 확장시킨 기술입니다. 2016년 유행했던 '포켓몬고' 게임이 증강현실을 활용한 대표적인 게임이고,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와 웨어러블 분야 등에서 확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포켓몬고 게임 사진

거울 세계는 가상 맵핑, 주석 첨부, 지리학적 정보, 위치 인식과 라이프로깅 기술을 입혀 현실 세계를 재현한 기술입니다. 구글 어스, 가상 부동산 게임인 업랜드(Upland)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참고로 업랜드는 가상의 브루마블 게임으로, 현실 세를 재현한 지도에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부동산 투자 및 거래가 가능합니다.

가상 세계는 현실 세계를 본 뜬 가상의 공간에서 경제적인 활동과 사회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에픽게임사의 포트나이트 게임, 로블록스, VR 기술을 기반으로 직원 교육 서비스 플랫폼인 Strivr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지난 2017년, 월마트는 Strivr의 VR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원 교육에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블랙프라이데이 상황에서의 고객 응대 방법을 오큘러스 헤드셋을 착용하고 '가상 세계'에서 직접 '행동하며' 연습해 보는 것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VR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은 기존 교육생보다 30%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직원 테스트에서 70%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분류한 4가지 메타버스 유형은 점차 경계선이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로블록스나 제페토의 가상 공간처럼, 가상공간에서 게임을 하고, 일상을 기록하고, 경제 활동을 하는 등 다양한 기술이 결합되고 있습니다.

산업 사이클 어디쯤 왔나?

가트너의 신기술 산업과 블록체인에 대한 하이프 사이클(성장 곡선)을 참고해보면,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정의내리지는 않지만 관련 기술들을 세분화해서 분석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기술인 데이터 중심 네트워킹(NDN, Named Data Networking), AI기술, 산업 클라우드 등은 기술 촉발 단계 (Innovation trigger)에 있고,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 산업은 기대 정점(peak of inflated expectations)에 위치해 있다고 했습니다. 메타버스에서 활용하는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도 세분화해서 분석했는데, 블록체인 플랫폼은 기대감 소멸 후 기술의 수익 모델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계몽 단계(slope of enlightenment)에 진입하는 시기라고 보았습니다.

그림 1 가트너의 블록체인 산업 사이클
포켓몬고 게임 사진

자료: Gartner, 미래에셋증권 글로벌주식컨설팅팀

요약하자면, 세부적인 기술마다 산업 사이클이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메타버스 산업은 부풀어진 기대의 정점을 통과 후 환멸 단계를 지나는 중이라고 판단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들이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핵심 기업들의 기술력이 재부각 되는 '계몽 단계'와 시장에서의 주류 플레이어가 확고해지는 시점인 '생산성 안정 단계'를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 산업 및 기업

메타버스 관련 산업은 1)인프라, 2)플랫폼, 3)콘텐츠 4)디바이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업별 관련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1 메타버스 관련 산업 및 기업
산업 기업
인프라 엔비디아, 유니티, 언리얼엔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플랫폼 로블록스, 에픽게임즈, 유니티, 언리얼엔진, 페이스북, 네이버
컨텐츠 Kering, 루이비통, 하이브, 에스엠
디바이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자료: 미래에셋증권 글로벌주식컨설팅팀

메타버스 산업이 재부각 되었던 이유 중 하나는 코로나19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취미 활동이 급증하다 보니,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 산업이 활성화되었습니다. 방탄소년단과 트래비스 스캇(래퍼)은 포트나이트에서 뮤직비디오를 공개했고, 구찌는 네이버 제페토 내에서 구찌 IP를 활용한 버추얼 컬렉션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아직은 메타버스를 주로 활용하는 콘텐츠 산업군은 게임, 엔터테인먼트와 소셜 미디어이지만, 향후 연계 산업은 교육, 예술과 생산 관리 시스템 등 크게 확대될 전망입니다.

메타버스에 대한 투자를 전분야적으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은 미국 빅테크 업체들입니다.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는 메타버스 인프라 확장부터 디바이스까지 활발하게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이스북은 빅테크 기업 중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향후 5년 내 페이스북을 소셜 미디어 기업에서 메타버스 기업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실제로, 페이스북 직원의 20%인 1만 명이 VR 관련 사업부인 리얼리티 랩(Reality Labs)에 근무하고 있고, 메타버스 관련 전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4년 VR 기기업체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VR관련 투자의 시작점을 끊었습니다. 2019년에는 가상 현실 세상인 호라이즌(Horizon)을 발표했고, 2020년부터 최근까지 VR 게임 스타트업인 레디 앳 던, 산자루 게임즈, 비트 게임즈, 다운포어 인터랙티브와 빅박스 등을 활발하게 인수하면서 게임 산업에 대한 투자 비중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VR 게임 사진

마이크로소프트는 2014년 마인크래프트 개발사인 모장을 25억 달러에 파격적으로 인수했습니다. 이어, 2020년에는 게임 퍼블리셔 베 데스다 소프트웍스를 산하에 두고 있는 제니맥스 미디어를 7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게임 산업에서도 입지를 굳히고 있습니다.

애플은 향후 10년 내 모든 아이폰을 스마트 글래스로 대체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힌 바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2022년 애플글래스 VR 출시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전망이 관측되고 있고, 최근 XR(확장현실) 관련 특허 기술을 등록한 바 있습니다. 기술명은 '직접 망막 프로젝터'로 디스플레이가 아닌 망막에 직접적으로 콘텐츠를 씌우는 기술입니다.

메타버스 관련 플랫폼 기업 중 로블록스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로블록스는 메타버스 산업의 기대감을 끌어올린 주역입니다. 일반적인 게임과 달리 유저가 게임을 만들 수 있고, 자체 화폐인 '로벅스'를 통해 규제를 피해 창작물에 대한 수익화 기회도 있다는 점이 코로나로 등교를 하지 않는 10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관련 ETF

메타버스를 핵심 컨셉으로 투자하는 ETF는 META가 유일합니다. 메타버스 산업 유형인 인프라, 플랫폼, 콘텐츠와 디바이스로 구분하여 관련 ETF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1)인프라, 플랫폼, 콘텐츠와 디바이스 영역을 동시에 영위하는 기업들이 많아 세부 영역 구분이 불명확하고, 2)콘텐츠 영위 기업에 투자하는 ETF가 존재하나 규모와 거래량이 적어 배제했습니다. 이를 감안하여 세분화 해본다면, 인프라는 SKYY, CLOU, CIBR, BUG, 플랫폼은 VOX, SOCL, 콘텐츠는 ESPO, 디바이스는 XLK가 있습니다.

표 2 메타버스 관련 ETF
구분 티커 ETF명 개요
메타버스 META Roundhill Ball Metaverse ETF
  • 메타버스 ETF로 Ball Metaverse Index 추종
  • 산업별 분포는 게이밍 플랫폼 20%, 컴퓨팅 19%, 클라우드 19%, 소셜 네트워크 12%
  • 보유 종목 상위는 Nvidia (NVDA, 9%), Microsoft (MSFT, 7%), Roblox (RBLX, 7%), Facebook (FB, 6%) 등
인프라 SKYY First Trust Cloud Computing ETF
  • 클라우드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보유 종목 상위는 Digital Ocean (DOCN, 5%), Rackspace (RXT, 4%), Oracle (4%) 등
CLOU Global X Cloud Computing ETF
  • 클라우드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보유 종목 상위는 Zscaler (ZS, 6%), Paylocity (PCTY, 6%), Paycom (PAYC, 6%) 등
CIBR First Trust NASDAQ Cybersecurity ETF
  • 사이버 보안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보유 종목 상위는 Palo Alto (PANW, 7%), Accenture (ACN, 6%), Cisco (CSCO, 6%) 등
BUG Global X Cybersecurity ETF
  • 사이버 보안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보유 종목 상위는 Zscaler (ZS, 8%), Fortinet (FINT, 8%), Palo alto (8%) 등
플랫폼 VOX Vanguard Communication Services ETF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미디어를 활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무선 통신과 콘텐츠 및 정보 전달을 하는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투자
  • 보유 종목 상위는 Alphabet (GOOG, GOOGL, 22%), Facebook (FB, 16%), Walt Disney (DIS, 5%) 등
SOCL Global X Social Media ETF
  • 소셜미디어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
  • 지역별 비중은 미국 52%, 중국 23%, 한국 11% 등으로 분산되어 있음
  • 보유 종목 상위는 Facebook (FB, 12%), Tencent (00700, 9%), SNAP (SNAP, 8%) 등
컨텐츠 ESPO VanEck Video Gaming and eSports ETF
  • 게임과 이스포츠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Global Video Gaming and eSports Index 추종
  • 보유 종목 상위는 Nvidia (NVDA, 8%), Tencent (00700 HK, 8%), Advanced Micro Device (AMD, 7%) 등
디바이스 XLK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 미국 기술주 ETF
  • 하드웨어, 스토리지와 주변기기, 소프트웨어, 커뮤니케이션 기기, 반도체, IT 등 전반적인 기술주에 투자
  • 보유 종목 상위는 Apple (AAPL, 22%), Microsoft (MSFT, 22%), Nvidia (NVDA, 6%), Visa (V, 4%) 등

자료: 미래에셋증권 글로벌주식컨설팅팀

META는 Roundhill사가 운용하는 메타버스 ETF로 Ball Metaverse Index를 추종합니다. 메타버스 관련 산업을 컴퓨팅, 네트워킹, 가상 플랫폼, 상호교환 프로그램, 결제, 콘텐츠 및 IP와 하드웨어로 나누었습니다. 산업별 분포는 게이밍 플랫폼 20%, 컴퓨팅 19%, 클라우드 19%, 소셜 네트워크 12% 등입니다. 인프라 구현에 필수적인 Cloudflare와 Nvidia, 가상 세계 창작에 필요한 게임 엔진 개발사 Unity와 Roblox, 콘텐츠와 커머스 분야인 Tencent, Sea와 Snap 등에 투자합니다. 보유 종목 상위는 Nvidia(NVDA, 9%), Microsoft(MSFT, 7%), Roblox(RBLX, 7%), Facebook(FB, 6%) 등입니다.
메타버스를 표현한 그림

댓글목록

윤정미님의 댓글

윤정미

세액공제위해 IRP ETF에 관심이 있었는데 메타버스 개요까지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Roh, Chong Soo님의 댓글

Roh, Chong Soo

감사합니다
주식투자중 쉬어 간다는 느낌이 들기도하는 웹진 내용들이 늘 재미있고 상식을 풍부하게해준다는 느낌이 들어 챙겨서 보고 있습니다
이번호에서 메타버스를 잘 정리해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성년님의 댓글

고성년

메타버스에 관심이 많네요.

강인규님의 댓글

강인규

요즘 핫한 메타버스에 관향 동향이 흥미롭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