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천재들의 실패, 롱텀캐피탈 매니지먼트(LTCM)의 실패는?
(2019년 05월 기사)

천재들의 실패, 롱텀캐피탈 매니지먼트(LTCM)의 실패는?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투자 이야기 >
  • 쉽고 재미있는 투자의 역사
    (2019년 05월 기사)
기고: IT기획팀 권형우 선임매니저
세상의 변화를 이끈 것은 천재들의 활약입니다. 경제 분야도 예외는 아닙니다. 하지만 시장을 쥐락펴락 하며 천재성을 발휘하던 이들도 급변하는 시장에 대응하지 못해 실패를 맛보기도 합니다. 이번 호는 이와 연관성이 있는 1998년 미국에서 일어났던 한 헤지펀드의 이야기입니다. 우선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1997년 노벨경제학상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노벨상 수상자들과 펀드 매니저의 만남, LTCM

199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는 파생금융상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모델을 고안한 로버트 머튼(Robert Merton)과 마이런 숄즈(Myron Scholes)였습니다. 이 모델은 '블랙-숄즈' 모형으로 불리는 것으로 옵션의 가격을 논하는 데 있어 뉴튼의 물리법칙에 버금가는 이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악수하는 사진

원래 이 이론을 고안한 사람은 골드만 삭스에서 일하던 피셔 블랙이었습니다. 그는 우연히 열역학과 물리학 이론을 응용하여 식을 만들어냈지만 인정받지 못하고 1995년 후두암으로 사망합니다.

피셔 블랙은 죽기 전 당시 MIT 교수였던 마이런 숄즈를 만나게 되고 자신의 공식이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을 토로합니다. 이에 숄즈는 공동명의로 해당 이론을 발표할 것을 제안하고, 이후 이 식은 블랙-숄즈 모형이라는 이름이 붙게 됩니다. 사실 이 공식은 경제이론이 아니라 열역학과 물리학에서 나온 것인데 이를 경제학적으로 해설한 사람이 바로 숄즈와 머튼입니다. 덕분에 두 사람이 그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입니다.

펼쳐진 책위에 안경이 놓여진 사진

이들의 공식은 노벨경제학상 수상 전부터 이미 옵션 가치 계산에 사용되며 유명세를 치르고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숄즈와 머튼에게 존 메리웨더라는 투자자가 접근합니다. 존 메리웨더 역시 당시 업계에서는 전설적인 존재로 통하는 인물이었습니다. 12세 때부터 주식투자를 시작한 그는 시카코대학에서 MBA를 마친 뒤 선물시장에서 차익거래에 뛰어들어 1,000만 달러의 배팅을 성공시킨 사람이었습니다. 의기투합한 세 사람은 1994년 헤지펀드,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를 창업합니다.

노트북과 A4용지에 그래프 그려진 사진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LTCM)의 성공, 그리고…

1994년 설립된 이들의 펀드는 승승장구합니다. LTCM은 1994년 28%의 수익을 올렸고, 1995년에는 59%, 1996년에는 57%라는 고수익을 실현했습니다. 이미 이들은 이론적으로 검증된 사람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었고 경험에서도 뛰어난 메리웨더가 합류했기 때문에 세간은 이들의 성공을 믿어 의심치 않았습니다.

자유여신상 전경 사진

이들의 매매방식은 차익거래와 공매도, 레버리지 이용이 특징이었습니다. 먼저 각 자산들의 이론적인 가격을 구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떨어진 자산은 매수하고, 가격이 높은 자산은 공매도 포지션을 취하여 이익을 얻는 방식이었습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자금은 레버리지, 즉 외부 차입을 통해 구했습니다. 이들은 이탈리아 국채 매매 등으로 자신감을 얻은 뒤 1997년 새로운 도전에 나섭니다.

달러와 엔화 단위가 시소위에 올려진 사진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로 인해 이머징 마켓들의 국채 가치가 하락하는 와중에 이들은 러시아 국채와 미국 국채 간의 스프레드가 지나치게 벌어졌다고 판단합니다. 이를 배경으로 저평가된 러시아 국채를 사고 미국 국채를 매도하는 포지션을 가져가게 된 것입니다.

러시아 국기 사진

하지만 이것이 파국을 초래합니다. 러시아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며 러시아 국채들이 휴지조각으로 전락됩니다. 반면 미국 국채는 외환위기 속 가치가 상승하며 LTCM은 위기에 빠집니다.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LTCM)의 파산과 후폭풍

여성 노인이 눈감고 있는 사진

문제는 이 펀드가 레버리지를 통해 상당히 많은 자금을 끌어들였다는 점입니다. 과거 높은 수익률을 꾸준히 올려주는 등 시장의 신뢰가 강했던 덕분에 이들에게 많은 사람들이 투자했고 당시 투자 금액만 무려 1,25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사실 LTCM의 자본금은 48억 달러 수준으로 레버리지 수준이 무려 26:1에 달할 정도였습니다. 결국 1,00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면서 금융권의 손실 우려가 커지기 시작합니다.

비오는날 우산쓴 사람들 사진

상황이 악화되자 결국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나서게 됩니다. 그린스펀 당시 연방준비제도이사회장은 기준금리를 7주 동안에 걸쳐 인하하고 LTCM에 서둘러 자금을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20여개의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이 참여하여 36억 5천만 달러를 지원해 LTCM를 인수하고, 구조조정에 자금을 투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LTCM 투자자들은 전액은 아니지만 일부 자금을 돌려받고, 2000년 LTCM은 최종 청산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