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일구님의 댓글
여일구TDF 에 대한 운영방향과 담당 매니저님의 선택을 유도한 이유를 알게되어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좋은 기회가 있다면 언제든 이직할 생각이 있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소식이 있습니다. 올 4월 14일부터는 55세 이하 직장인이 퇴사를 할 때 퇴직금 규모가 300만 원이 넘는다면 무조건 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로만 받아야 합니다. 2022년 3월 기준으로는 근로자가 다니던 회사에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되어 있고 근로자가 55세 이하이며 퇴직금이 300만 원이 넘는 경우에만 퇴직금을 IRP로 받는 것이 의무였습니다. 즉 퇴직연금제도 미도입 회사에 다니고 있었다면 IRP 계좌로 퇴직금을 받는 것이 개인의 선택 사항이었습니다. 하지만 4월 14일부터는 달라졌습니다. 근로자가 55세 이하이며 퇴직금이 300만 원을 넘는다면 다니던 회사의 퇴직연금제도 도입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퇴직금을 IRP로 받아야 합니다.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져 은퇴 전 몇 번은 이직하는 것이 일반적인 게 된 풍토를 생각해 보면 좋든 싫든 직장인이라면 IRP 계좌를 만드는 것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일반 IRP는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중도인출이 어렵기 때문에 퇴직금을 받아 개인 여유자금으로 활용할 생각을 가졌던 직장인이라면 이 상황을 매우 면밀하게 들여다 봐야 합니다.
IRP 혜택은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째 퇴직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IRP로 받으면 당장은 퇴직소득세를 내지 않습니다. 55세 이후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인출하면 퇴직소득세 30~40%를 덜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세금을 줄이면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IRP 계좌에서 다양한 펀드와 ETF(상장지수펀드), 리츠 등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퇴직금을 불릴 수 있는데 이때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에 대해서 당장 세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때 3.3~5.5% 정도의 연금소득세만 내면 됩니다. 일반 계좌에서 투자하면 세금이 15.4%에 이르는 점을 생각해 보면 상당한 절세가 됨은 물론 투자 원금을 키울 수 있어 이득입니다. IRP 계좌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 이직의 순간이 왔다면 IRP 계좌를 어디에서 만드는 것이 좋을까요? 먼저 원리금 보장상품과 펀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증권사, 은행, 보험사 세 군데가 모두 동일합니다.
연금 종류 | 과세 방법 |
---|---|
주식형/주식혼합형 펀드 | 원리금 보장 상품 |
하이일드채권/부동산/특별자산/혼합자산펀드 | TDF |
ETF(인버스, 레버리지, 파생 제외) | 채권형/채권혼합형 펀드 |
상장리츠, 상장인프라펀드 | 채권 ETF |
은행은 선택이 이 두 가지에 한정된 반면 보험사는 실적배당보험이 선택지에 추가됩니다. 증권사가 투자 가능상품 범위가 가장 넓습니다. 원리금 보장상품과 펀드 외에 ETF, 리츠, 인프라펀드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품군으로 적극적으로 운용해보고 싶다면 증권사가 가장 나은 선택지인 것입니다. IRP로 받은 퇴직을 어떻게 굴릴 것인지 가입할 금융회사 선택이 마무리됐다면 편입할 상품을 고를 차례입니다.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IRP에는 주식형 펀드, ETF 등 위험자산(표 참고) 투자 한도가 70%로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즉 30%는 반드시 원리금보장상품 등 비위험자산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투자상품의 수익률 증가로 한도가 초과될 경우 금융회사에서 투자자에게 알림을 줍니다. 다만 이것은 매도하라는 뜻은 아니며, 한도가 초과되었으니 추가적인 위험자산 매수는 불가능하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다양한 상품을 조합해 투자하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지는 투자자라면 최근 유행하는 TDF(Target Date Fund)를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TDF는 생애주기에 맞게 투자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펀드로 노후자금과 같은 장기적인 운용에 걸맞는 투자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가입자의 나이가 젊을 때는 TDF 내 위험자산 비중이 높다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안전자산의 비중이 높아집니다. 청년 때에는 손실이 있더라도 회복 가능한 기간이 있으니 보다 공격적으로 운용하고, 노년에는 자금을 인출해서 써야 하는 시기이므로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형태인 것입니다.
TDF 에 대한 운영방향과 담당 매니저님의 선택을 유도한 이유를 알게되어 유용한 정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