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연금가입자의 ESG 투자
(2021년 11월 기사)

연금가입자의 ESG 투자
메인 이미지 보이기
  • 처음 >
  • 투자 이야기 >
  • 평안한 노후를 위해 그와 그녀가 사는 법
    (2021년 11월 기사)
기고: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윤치선 연구위원
ESG 경영을 잘하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이익이 증가하고,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성과도 좋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ESG 투자의 특징은 연금 가입자들이 ESG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주된 이유가 됩니다. 그렇다면 연금 가입자가 실제로 ESG 투자를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현재 가입 가능한 상품군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ESG 주식형 펀드, ESG 주식형 ETF, ESG 채권형 펀드가 그것입니다.
ESG를 표현한 사진

ESG 주식형 펀드는 ESG 측면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은 기업들의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크게는 액티브 방식과 패시브 방식으로 나뉩니다. ESG 액티브 주식형 펀드는 펀드매니저의 재량에 의해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벤치마크 지수의 구성종목 중 ESG 평가등급이 높은 기업들의 주식 비중을 높이고, 등급이 낮은 기업 주식은 비중을 줄이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패시브 형태의 ESG 주식형 펀드는 일명 ESG 인덱스 펀드라고도 합니다. 사전에 설정된 ESG 관련 벤치마크 지수를 그대로 추종해 운용됩니다.

ESG 주식형 펀드는 세부적으로 보면 운용방식이 다양합니다. 국내에만 투자하는 펀드가 있고, 해외 기업 위주로 투자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어떤 ESG 벤치마크 지수를 설정했는지에 따라서 펀드별로 운용 결과에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종합적인 ESG 지수를 벤치마크로 설정한 펀드와 환경(E) 관련 지수를 벤치마크로 설정한 펀드는 그 수익률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하기 전 투자설명서 등을 통해 펀드 투자 대상, 벤치마크 지수, 운용 방식 등을 꼼꼼하게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ESG 주식형 ETF의 기본적인 운용 방식은 패시브 방식 ESG 주식형 펀드와 비슷합니다. 다만 주식시장에 상장돼 주식처럼 매매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연금저축, IRP 등 연금계좌에서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ESG 주식형 ETF만 매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등 해외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는 매매할 수 없습니다.

ESG 채권형 펀드는 ESG 요인을 고려해 채권 투자를 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회사채 펀드와의 차이점은 ESG 평가등급이 높은 기업의 투자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펀드에 따라서는 ESG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된 ESG 특수목적채권을 편입하기도 합니다.

현재 ESG 채권과 관련된 지수는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채권 지수를 벤치마크로 설정한 펀드가 많습니다. 다만 일부 펀드는 자체적으로 ESG 관련 채권 지수를 개발해 벤치마크로 설정하기도 합니다. 펀드별로 구체적인 운용전략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투자설명서를 통해 투자 대상 채권의 종류나 운용방식, 벤치마크 지수 등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ESG 채권형 펀드를 간접적으로 표현한 사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